http://blog.naver.com/heavenpos/130016399351

사회적 성화의 구체적 실현으로서의사회적 성화의 구체적 실현으로서의 18세기 영국 부흥운동
2000.12.5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주님의교회 목사 박  찬  희
  목    차
    들어가는 말
    Ⅰ. 18세기 영국 부흥운동 전의  사회상황
          1. 정치적인 상황
                  가. 프랑스혁명
                  나. 영국의 정치적 부패상
          2. 사회 경제적인 상황
                  가. 농업혁명
                  나. 산업혁명
                  다. 노동자 계급과 빈민
                  라. 사법 및 행형(行刑)제도
                  마. 노예제도
                  바. 교육환경
                  사. 사회현상 - 음주, 도박, 스포츠
          3. 종교-사상적 상황
                  가. 교회-성직자의 타락
                  나. 독일 경건주의(Pietism)의 영향
                  다. 이신론의 만연
  Ⅱ. 부흥운동가들의 신학과 실천
        1. 죠지 휫필드(George Whitefield, 1714-1770)
                가. 생애
                나. 휫필드 부흥운동의 특징 -위대한 설교가
                다. 공헌
        2. 요한 웨슬리(John Wesley, 1703-1791)
                가. 생애와 신앙적 배경
                나. 웨슬리 부흥운동의 특징 - 신학사상
  Ⅲ. 요한 웨슬리와 메도디스트에 의한 사회 변혁
  Ⅳ. 18세기 부흥운동의 양상에 대한 평가
  나가는 말   - 유혈혁명과 무혈혁명
  참고문헌
들어가는 말

18세기 영국을 살려낸 웨슬리 형제와 휫필드 등의 부흥운동의 성격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배경을 이해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이 말은 그들의 부흥 운동이 단순히 종교-사상적 범주 내에서만 이해되어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비록 그들의 부흥운동 전체를 꿰뚫는 것이 기독교 신앙이라 할지라도 "문화는 종교의 형태요, 종교는 문화의 내용"이라는 틸리히의 관점에서 보면 그런 이해는 단편적으로 흐를 여지가 많은 것이다. 마치 18세기 영국교회가 노예제도에 대하여 가졌던 잘못된 관점처럼 관념적이고 초월적인 것에만 머물게 된다면 이는 [18세기 영국의 부흥운동]을 고찰함에 있어서 분명 전체를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하고 말 것이다. 모든 사상운동과 혁명과 종교운동은 반드시 그 사회의 기본 토대들 즉 정치, 경제, 사회, 문화(종교)의 결과물이다. 따라서 18세기의 위대한 부흥운동은 당시의 정황이 이끌어 낸 필연적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 역사는 진보한다. 하나님의 섭리는 역사의 진보라는 그릇 안에 인간의 열정과 믿음과 희망을 담게 한다. 이 글은 그러한 이해를 전제로 사회적 배경 즉 당시의 사회현상을 연구하는데 한정되며 이런 연구에 있어서 견지한 것은 끊임없이 인간을 회복하시는 하나님의 역사하심이었음을 밝힌다.  이를 바탕으로 18세기 부흥운동의 성격이 온전히 규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Ⅰ. 18세기 영국 부흥운동 전의  사회 상황

1. 정치적인 상황
18세기 중반과 그 이후는 역사에 있어서 중대한 전환점이 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정치적으로 프랑스혁명과 영국의 산업혁명, 사상적으로는 이신론, 그리고 메도디스트들에 의한 교회의 개혁과 부흥운동이라는 정치, 경제, 사상의 변화가 급격히 이뤄진 시기였다. 영국은 이런 18세기의 급류 한가운데에서 역사적 사건의 목격자가 된 것이다.

가. 프랑스혁명
18세기의 영국 상황을 알려면 영국이 속한 대륙의 전체적 상황을 살펴보면 그 상황이 전개되게 된 배경을 알 수 있다. 당시 유럽은 프랑스혁명의 갑작스런 발발로 크게 진동하고 있었다. 다른 많은 나라들처럼, 프랑스는 위대한 기회의 땅이었다. 그곳은 기름지고, 성공적이고 부유한 곳이었다. 하지만 교회적 상황에 있어서는 결코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여전히 교회에 있어서는 불의와 불평등의 수수께끼가 엄존했다. 따라서, 혁명이 끝났을 때, 교회들은 본질적인 적으로 간주되었고 교회의 영향력과 특권은 급속도로 쇠퇴해갔다. 십일조는 폐지되었고 교회의 재산은 몰수되었으며 종교적 요구들은 억압되었고, 감독들과 교구목사들은 그들의 독립성을 잃고 대중적 조류에 휩쓸리게 되었다.1)
프랑스혁명의 영향은 영국의 사유에 있어서 나라 전체가 두 개의 진영으로 나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하나는 그 혁명적 사상을 기꺼이 받아들인 진영 즉, 자유와 평등과 협동의 가치를 인식한 이들이 사회적 평등을 호소하고 심각한 사회적 모순을 그 안에서 찾으려 한 점이다. 둘째 부류는 혁명이 이뤄지는 현상들에 있어서 공포를 가지는 부류이다. 이들의 우려는 온갖 종류의 폭동과 반란에 대응하여 보수세력의 견해를 결집시켰다. 이리하여 혁명에 대하여 거대한 적대적 입장이 증진되었다. 혁명의 기치에 대한 선언은 훌륭한 것이었음에도 인명에 대한 대량살상이 있었기 때문이었다.2)

그러나 프랑스혁명은 영국에 있어서 교회와 국가의 개혁에 대한 물고를 터놓는 사건이었다. 혁명의 제 문제는 교회의 일각에서 진지한 고려의 대상으로 부각되게 되었다. 또한 계몽주의는 인간 자유에 대하여 새로운 인식을 하게 하였고 프랑스 혁명의 선언은 대륙을 엄청난 영향력으로 휩쓸었다. 이것들은 영국에 와서 열악한 민중계층의 자각을 이끌어 내었고, 교회 내에서 아직은 소수에 머물고 있는 각성되고 신실한 신앙인들에게 사고와 신앙과 행위에 있어서 하나의 충격이 되었다.

렉키는 18세기 웨슬리 부흥운동을 평가하면서 프랑스 혁명의 과격함과 인본주의적 유형을 종교운동, 사회운동으로 전환 시켰다고 주장하였으며, 헤일도 18세기 웨슬리 부흥운동과 사회운동이 중산 계급과 노동 계급 사이의 연계를 맺게 해서 폭동을 막았다고 설명한다.3)

나. 영국의 정치적 부패상

브래디에 의하면 18세기의 처음 60년 동안은 실로 뇌물, 부패, 사기, 속임수가 정치라는 기계의 톱니바퀴와 지렛대였다.4) 이 정치적 부패구조의 핵심인물은 월폴(Robert Walpole)이었다. 그는 조오지 1세와 2세 두 왕 밑에서 1721년부터 1742년까지 영국의 정치를 주도했다. 조오지 1세는 독일에서 태어나 양육되었기에 영국 사람들에게 이방인이요 영어를 한 마디도 모르는 등 영국의 업무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떠맡기에는 약점이 있었기 때문에 월폴이 중대한 권력을 쥐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18세기는 월폴의 시대라고 칭해지기도 한다.5)비록 그의 시대에 군주의 전제정치가 와해되고 수상과 내각에 의한 의원내각제가 발전되었다 하더라도 그의 치세 하에서의 조직적이고 체계화된 부패는 하원을 비대표적인 집단으로 만들었고, 그의 치세가 끝났을 때에는 반세기 동안 영국의 정치를 지배해 온 오만하고  탐욕스러우며 싸우기를 좋아하는 휘그당(Whig)의 독재정치는 이미 뼈 속까지 부패해 있었던 것도 사실이었다.6)
월폴은 뇌물과 부패를 국가의 지속적이고 철저한 정책으로 만든 오명과 책임을 피할 수 없는데,7) 그에 의하면 정부는 부패 아니면 폭력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었는데, 그는 전자를 그의 정책적 원칙으로 택하였다. 그는 잠자는 개들을 계속 누워 있게 했고, 그들이 깨어서 짖어대며 사나운 이를 드러내면 항상 뇌물이라는 고기덩이를 준비해 두고 있었다. 그는 거금을 왕과 여왕에게 뇌물로 헌납하기를 곧잘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치세 동안에 대부분의 의회의원들이 그의 기밀비를 받았으며, 심지어 교회 감독들까지도 이러한 방법으로 그에게 매수되어 있었다. 그의 성격으로 말하면 고의적이건 아니건 간에 마키아벨리적 사고방식이었고, 그의 습성은 그의 정신과 마음이 교활하고 야비한 것처럼 천하고 육욕적이었다. 그는 술주정꾼이었고 대식가였으며 공공연히 간통을 행하는 자였다고 한다.8)
이런 정치적 부패의 와중에 공개적으로 런던 타임지(The Times of London)에 의원직 판매가 광고되기도 했으며, 의원직의 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기도 했다. 체스터필드(Chesterfield) 경은 자기 아들을 위해 2,500 파운드라는 저가로 하원 의원직을 사려다 웃음거리가 되기도 했으며9), 올드 살룸(Old Sarum) 같은 몇몇 선거구들은 집이나 거주자가 없는데도 2명의 의원을 의회에 보냈고, 맨체스터(Manchester)처럼 산업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큰 중심지들은 의원이 전혀 없었다.10)

또한 국민들은 소수 집권자들의 수탈의 대상일 뿐이었는데, 군주의 친척이거나 부패 선거구의 투표권을 지니고 있는 자에게는 대개 군주로부터 한직 형태의 직위(sinecure post)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보통 국민들의 정치활동이라는 것은 고안된 법에 순종하고 소수 지배자들이 그들에게 부과한 세금, 십일조, 사용료와 의무들을 불평 없이 지불하고 이행하며 강제 징모대, 노상 강도, 차꼬(stocks), 채무 교도소, 그리고 교수형을 피할 수 있기를 열심히 간원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었다.11) 한편, 이런 정치가들이 종교에 대해 갖고 있던 생각은 국교는 그들의 영향력 확대와 그들의 후원자들에게 보상을 주는 수단12)일 뿐이었다.

브레디(Bready)는 이 시대 정치의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그 시대를 대표하는 정신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는데, 그에 의하면 그 시대를 대표하는 정신은 무정한 개인 이기주의였고, 그것은 정치에서 보다 더 무자비하게 표현되었으며 영혼이  사라진 이신론은 자연종교와 그것의 이교적인 도덕과 함께 이상하게도 날카로운 발톱, 피에 절은 이, 그리고 완력에 친숙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13)

2. 사회 경제적인 상황14)
가. 농업혁명

18세기 영국은 식량 생산의 증대가 요청되자 광대한 농토를 이용하는 것이 큰 이득이 되었고, 이에 더 큰 자본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더욱이 공유지의 사유화법령이 제정되자 농토는 정치적 배경을 가진 소수의 대지주들 손에 넘어갔다. 가난한 농민들은 대부분 농노의 지위로 신분이 격하되었고, 한편 많은 농민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몰려들어 도시빈민층을 형성하게 되었다.15)

      나. 산업혁명

18세기 영국의 대 변혁은 1760년 제임스 하그리브스(James Hargreaves)의 방직기계 발명, 1708-9년의 에이브라함 다비(Abraham Darby)에 의한 철제련을 위한 석탄연료 사용, 1775년 제임스 와트(James Watt)의 증기기관의 발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것은 산업의 발달과 대량생산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역사가들에게 있어서 특히 1770년은 근대와 중세를 가르는 구분점이기도 하다. 1770년을 전후한 급격한 사회변화는 노동자들의 요구 증대와 사람들을 주로 석탄 광산과 혹은 그 주변인 새로운 산업 지대로 구름처럼 몰려들게 하였다. 지나친 인구 집중은 주변에 빈민가를 형성하였고 그곳은 높은 유아 사망률, 공중 위생의 불량, 콜레라의 만연으로 피폐되어 있었다.16)

인구집중으로 인해 값싼 노동력을 얻기가 용이해진 것은 상대적으로 노동자와 그 가족의 복지 및 노동의 대가에는 크게 못 미치는 최악의 상황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많은 경우 노동력은 남성들 뿐 아니라 어린이들과 여성들에게서 충당되었다. 심지어 5세 전후의 어린이들조차 고용되었고 가족의 수입은 고작 몇 페니 정도가 전부였다. 몇 년 안에 영국에는 새로운 현상들이 나타났는데 '산업화 지대'(industrial area)에서의 사회적 문제와 정치적 문제 등이 그것이었다. 이런 문제들로 인해 '산업화 지대'는 급속하게 '낙후지역'(depressed area)으로 변모되었다.17)

산업혁명이 가져온 결과는 필연코 사회적 불평등, 경제적 빈익빈 부익부를 초래하였다. 대량생산은 일부 부유한 층에는 소비와 향락의 만연을 가져왔고 상대적으로 빈곤층은 더욱 열악한 사회-경제적 환경으로 빠져들었다. 고용주들은 인구집중으로 인해 값싼 노동력의 확보가 용이해졌으나 빈곤층들에게는 실직의 위협이 증가하였고 실제로 실직한 많은 사람들은 도시 속의 빈민으로 전락하였다.

그러면 이제 노동자 계급과 빈민들이 열악한 상황에 처하게 된 원인과 실제 환경은 어떠했는가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다. 노동자 계급과 빈민

18세기 초 영국은 점점 더 빈곤해지고 비참한 삶을 살아가는 대다수와 매우 부유한 소수로 계층이 갈라지는 양극화 과정을 겪고 있었는데, 소작인들과 빈곤한 사람들이 백성의 가장 큰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구호의 혜택도 교회의 구조도 받지 못하였으며 의사의 진료조차 받지 못하여 사망률은 날로 더해 갔다.18)

이들의 빈곤화의 원인은 공공기관의 땅의 구별, 휴경지의 소유화 및 토지와 장원의 통합으로 인한 농민들의 토지 박탈과 국가기관의 경직된 태도 및 소유주들의 전통적인 입장, 산업화가 주원인이었다.19) 자본가들의 강한 투자력과 현대화된 농업방법은 소농민들과 부업적인 농민들로 하여금 경쟁력에 뒤져 삶의 터전을 잃게 했다. 게다가 산업화로 인해 증기기관과 면직산업의 기계적인 작업 도구들이 발명되어 무수한 가내공장들의 손노동이 기계노동으로 대체되면서 실업자의 숫자는 더욱 늘게 되었고 노동자들의 임금은 더욱 낮아지게 되었다. 당국과 부유한 층들의 무관심, 그리고 가난은 스스로에게 책임이 있으며 신적인 형벌의 표식이라는 영국인들의 전통적인 견해는 빈곤한 자들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20) 이렇게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들은 굶주림에 못 이겨 거리에 구걸을 나섰고21) 그러다가 굶주림과 추위에 거리에서 그대로 죽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22)

이 시기에 실업은 영국 사회의 큰 문제였는데 노동자 계층들은 이러한 잦은 실업과 노동력 착취로 인해 심한 고통을 당했다. 당시 광부들은 하루에 약 1실링(shilling)을 받으며 하루도 쉬는 날 없이 1주일 내내 하루에 16내지 17시간씩 노예처럼 일했다. 그리고 늙거나 그 일에 적합하지 않게 되면 가차없이 해고되어 가난과 질병의 비참함에 내던져졌다.23)

여성들도 광부로 일할 수 밖에 없는 형편이어서 탄광에서 일하게 되었다. 완전 나체의 남자 광부들을 옆에서 도왔는데, 6세에서 21세의 여성 노동자들이 상반신 나체로 네발 가진 동물처럼 석탄 바스켓을 운반하였다. 한 여인은 갱 안에서 두 아기들을 낳기도 했다. 200여명의 여자 노동자들이 1845년까지 일하였다.24)  4세에서 13세 이하의 남녀 아동들이 석탄 광부일에 고용되어 하루 11시간 이상 14시간까지 아니 그 이상도 노동을 강요당했다.25) 소년 소녀들이 도제(apprentice)라는 구실 아래 고용주들에게 노예처럼 팔려가는 것도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었다.26)

산업노동자들의 3분의 1이 5세에서 8세의 소년과 소녀들이었으며 맨체스터의 전체 노동인구의 8분의 1인 1만 5천명이 지하실에 살았다. 지하실에 살았던 노동자들 중, 1,500가구가 세 명이 하나의 침대에서, 738가구가 네 명이 하나의 침대에서, 218가구가 다섯 명이 하나의 침대에서, 94가구가 여섯 명이 하나의 침대에서, 두 가구가 여덟 명이 하나의 침대에서, 31가구가 아예 침대없이 살았다. 그들의 주거환경은 어둡고 답답하고 병들기 쉬운 환경이어서 노동자들의 평균 수명이 리버풀(Liverpool)은 15세, 맨체스터는 17세, 볼튼(Bolton)은 18세였고 리즈(Leeds)에서는 극빈자들의 평균 수명이 오히려 노동자들의 22세보다 훨씬 더 많은 49세였다.27)

이러한 사업가들의 노동력의 착취, 늘어나는 실업, 노동자들- 특히 광산과 여성과 어린이들-의 비인간적인 노동환경 및 저임금 등이 특별히 잔악해지거나 생필품의 품귀현상이 일어날 때면 국지적인 데모가 발생했고 이 때 군중들의 흥분이 폭력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관리들은 이러한 정당한 항거를 유발한 원인을 제거하려 노력하기보다는 이러한 행동을 공공질서 파괴와 동시에 전통적인 특권에 대한 도전으로 보아 대개 군대를 동원하여 잔인하게 진압하고 주도자들은 중벌로 다스렸다.28) 이런 열악한 노동 상황은 노동조합의 결성을 촉진29)하였는 바 이 노동조합의 조직 및 핵심인물들은 메도디스트 운동의 큰 특징 중의 하나인 '속회'의 조직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실제로 이 '속회'의 지도자들이 후일 노동조합의 중요한 인물들이 되기도 하였다. 

라. 사법 및 행형(行刑)제도

18세기의 사법제도를 간단히 표현하면 형법은 지나치게 엄했으며 소송절차와 집행은 불분명했고 집행은 참혹했으며 교도소의 내부 상태는 열악하였다.

국회는 사형죄에 해당되는 범죄 목록을 18세기 동안 무려 200개 이상으로 확대시켰다.30) 집 토끼를 쏜 자, 교량을 훼손한 자, 묘목을 뽑아 내버린 자나 5실링을 훔친 자 등의 경미한 죄인들도 교수형에 처할 수 있었다.31) 이런 법률은 가난한 자에게 해당하는 것들이었다. 그들은 곤경과 굶주림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그러한 행위들을 할 수 밖에 없었으며 고소당하거나 체포되었을 때에는 사형을 각오하지 않으면 안되었다.32)

이런 무원칙적이고 무차별적인 법 집행은 법을 집행하는 관리들의 타락에서 절정을 이루었는데, 많은 미결수들이 수개월 혹은 수년 동안 재판을 기다리지 않으면 안되었다.33) 그에 반해 명망 있는 변호사를 고용할 만큼 충분한 돈이 있는 사람은 고소나 재판의 문제에 봉착하게 될 경우 절차상의 허점을 이용하여 처벌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런 허점들은 간수들의 횡포를 초래한 바, 확실한 봉급을 받지 못했던 간수들은 다른 식으로 수입을 챙길 수 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수인들을 윽박지르거나 상응하는 돈을 받고 수인들에게 특별한 조치(예를 들면 쇠사슬을 일시적으로 풀어주는)를 취했다. 그들은 알코올과 마약을 팔았으며 매춘행위를 허용하기도 했다. 유명한 수인들은 돈을 받고 관중들에게 구경을 시키기도 했다. 비용을 지불하지 못한 수인들은 간수들에 의해서 살해되기도 했으며 또 어떤 이들은 무죄선고를 받거나 형기를 마친 후에도 담당자에게 빚을 진 이유로 감옥을 떠날 수 없었다.34)

교도소에는 보통 남, 녀, 어린이들이 구별되지 않고 수감되었으며 간수들의 잔인성과 아울러 열악한 식생활과 위생상태는 비참한 교도소 내의 상황을 더하게 하였다. 이런 환경은 중병과 사망 사고를 초래하기도 했다.35)

사형 집행에 있어서의 잔혹함도 말로 표현하기가 어려울 정도였다. 한 죄수를 형장까지 동행해 주었던 메도디스트 설교자인 테일러(Thomas Taylor)의 목격담은 이를 잘 드러내 준다. 최종적인 형 집행이 행해지기에 앞서 마치 푸주간 주인이 큰 식칼로 갈비 조각들을 잘라 내듯이 형 집행인들이 큰 도끼로 사형수의 오른팔을 잘라 냈다고 한다. 특히 반역죄를 지은 자에게는 형 집행인들이 잔인한 방법으로 최대한 죽음을 지연시켜 온갖 고초 속에 서서히 죽게 하여 고통의 무게를 더하게 했다. 어떤 경우에는 발가벗겨 어두운 방에 가두고 그의 가슴에 무거운 돌이나 쇠덩이를 올려놓아 죽게 하기도 했다.36) 믿을 수 없는 일이지만 남편을 살해한 여인들과 반역죄를 지은 여인들이 법에 의해 화형을 당한 일도 있었다.37)

당시의 이러한 형법과 교도소 체계에 내포되어 있는 잔인성에 대해 교회와 국가는 아무런 반대의 소리를 내거나 어떠한 대책도 강구하지 않고 있었다.
마. 노예제도

18세기의 사회적 문제들 중에서 노예문제가 최악의 비인간적이고 불의한 문제였으며 또 그만큼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기도 했다. 노예매매는 파생적인 가증한 악들을 수반했다는데 심각성이 있었다. 노예매매는 영국에 온갖 미혹, 유괴, 사기, 그리고 책략을 조장했던 것이다.

웨슬리는 그의 활동 후기(1770이후)부터 노예제도에 대하여 뚜렷이 반대하며 공개적인 저항을 하게 되는데38), 일찌기 죠지아 사역중에 본 'white slavery'라고 불리는 식민지 인디언 노예매매는 웨슬리의 영혼에 대단히 증오스런 것이었다. 그는 이같은 일에 대해 타협없이 반대했다.39) 그 연장 선상에서 웨슬리는 1760년에 노예 소유주와 두 명의 노예에게 세례를 베풀었는데 이 노예 소유주는 서인도제도(west indies)에서의 최초 감리교도가 되었으며 웨슬레의 사역과 부흥운동이 확산되는데 효율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40)

영국이 노예매매에 개입한 것은 1500년 경 포르투갈인들이 이 사업을 시작한 이래 16세기 중엽부터였는데, 영국인들에게 흑인 노예매매 사업의 독점권을 보장해 주었던 유트레히트 조약(The Treaty of Utrecht)에 속하는 1713년의 아시엔토(Asiento) 특허를 획득하자 영국은 이 노예무역 사업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1680년과 1688년 사이에만도 영국의 아프리카 군단과 무허가 상인들에 의해 수송된 흑인 노예는 200,000명이 넘었으며 1783년과 1793년 사이에 리버플에서만 출발한 배에 의해서 미국으로 수송된 노예가 약 300,000명 정도였다.41) 이 사업으로 영국은 엄청난 부를 얻었다. 그리하여 이 사업의 보호와 발전이 정치적 활동의 목표가 될 정도로 국가적인 관심이 고조되었다.

노예선원을 조달하기 위해 유괴와 유인, 사기와 계략을 통한 인신매매가 횡행했으며, 런던에서는 이러한 악질적인 앞잡이들이 조를 이루어 건장한 젊은이들을 유인해 함정의 덫에 걸리게 하여 자물쇠가 잠긴 집이나 다른 은밀한 구류소로 납치했다가 벵겔선 선장에게 팔아 넘겼다.42)

브래디는 그의 책에서 월폴(Horace Walpole)이 1750년 2월 25일에 만(Horace Mann) 경에게 보낸 편지의 한 구절을 소개하고 있는데 "우리의 식민지에만 매년 46,000 명의 노예들이 팔려 나갔습니다"43)라는 말은 당시 노예매매가 얼마나 성행했는지를 짐작케 한다.

이 근대 무역이 시작될 때 노예무역자들은 흑인 노예들이 기독교의 가르침과 영향에 접하게 되어 곧 그들의 운명을 향상시키게 된다는 주장을 폈지만 이는 순전히 위선이었다. 대부분의 노예들은 종교적인 교육을 아무 것도 받지 못했고 세례를 받게 된 사람은 극소수이며 거의가 결혼의 권리를 누리지 못했다. 오히려 쇠사슬과 수갑을 채우는 일이 다반사였다.44)

그러면 이러한 해악에 대해 당시의 교회는 어떠한 태도를 취했는가?  기독교인이 된 노예들은 그들의 기독교인 소유주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하여 런던의 식민지 담당 감독은 1727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기독교의 신앙이 주는 자유는 죄와 사탄으로부터의 자유이다. 그러나 이들의 외적인 지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언제나 그런 상태에 있었듯이 그렇게 전혀 변화가 없다. 그들이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인이 되었다고 해서 그들의 외적인 지위에 변화가 오는 것은 전혀 아니다." 이들의 생각은 노예제도를 신적인 세계질서의 한 요소로 본 것이었다. 몇몇 영국 국교인들은 회심한 노예들을 해방하였다가 감독으로부터 책망을 받기까지 했다. 신약성서 특히 바울서신을 근거한 영국 국교회의 이런 입장은 18세기 중엽까지 아무런 저항이 없었다. 비록 와버튼 감독과 몇몇 목사들이 반대했지만 국교회의 공식적인 견해는 노예제도를 문제삼지 않는 것이었다.45)
바. 교육환경

브레디는 18세기 초를 가리켜“희망이 소멸하던 시기”로 평가했다. 대부흥이 도래하기 직전 모든 계층에서 출생한 어린이 4명 중 3명이 15세 이전에 죽었다. 74.5%의 사망률이었다.46)

교육에 있어서 귀족이나 부유한 자들은 가정교사를 둘 수 있었지만 교육비를 지불할 수 없었던 서민의 자녀들 대다수는 어떠한 정규적인 학교 교육도 받지 못하고 있었다.47)

가난한 집 자녀들이 교육에 그렇게 방치되어 있었던 원인은 두 가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대중교육을 위한 설비가 거의 없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가난한 집 아이들은 가능하면 빨리 돈을 벌어야지 학교에서 시간을 허비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또한 이러한 요소 이외에 모든 어린이들의 기본교육을 위한 노력이 성공을 거두지 못하게 된 주요 원인은 그러한 교육의 필요성을 깨달은 사람이 많지 않았다는데 있었다.48)

사. 사회현상 - 음주, 도박, 스포츠

18세기 영국사회는 빈익빈 부익부가 심화되었다. 그들은 퇴폐, 방종 그리고 낭비의 부도덕한 삶의 표상이 되었다. 부유층은 교외 호화 주택에서 사치스럽게 살았으나, 공장, 광산 노동자들과 농민들의 삶은 어렵고 고통스러웠으며 안전이나 보상이 거의 없었다. 이러한 삶은 전혀 희망이 없는 것이었다. 여기로부터의 탈출은 도박, 음주, 폭력 등을 통한 무질서, 무규범, 방탕의 생활로 이어졌다. 그리하여 낮은 생활 수준에 높은 정도의 불안전이 가해졌고, 그들 사이에서는 렉키가 '끝없는 불안, 혁명의 가장 위험한 징후'라고 불렀던 상황이 도래되었다.49)

18세기 사회 상황을 가장 명료하게 보여 주는 것은 음주와 도박 그리고 잔인한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마샬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잘 설명해 주고 있다: "18세기 동안의 레크레이션은 모두가 인간 본성의 가장 물질적이고 가장 저열한 측면에 호소하는 것들이었다. 상 하층을 불문하고 사회의 모든 계층에 음주와 도박이 만연되어 있었고 닭싸움이 애호 스포츠였다."50)

브레디에 의하면 의회의원들이 술에 취해 국정 업무를 계속할 수 없었기에 의회가 일찍 휴회되는 일이 여러 번 있었다. 그리고 결혼식은 가능하면 계약 당사자들이 맑은 정신으로 엄숙히 식을 올릴 수 있게 하기 위해 아침에 행해졌다고 한다.51) 심지어 성직자도 예외가 아니었던 것 같다. 체스터(Chester)의 감독에게 꾸지람을 들은 한 국교회 목사는 교회 예배의무 중에는 결코 술취한 일이 없다는 주장으로 자신을 변호했다고 한다.52)

브래디가 기술한 바, 당시의 음주량의 증가는 가히 놀랄만하다. 상대적으로 알콜 도수가 낮은 맥주를 대신하여 독주인 위스키가 점차로 영국인들의 일상음료처럼 되어갔다. 브래디가 묘사한 바에 따르면,

"1684년도에 527,000 갤론이었던 영국의 위스키 류 생산량이 1714년에 이르러서는 2,000,000 갤론으로, 1727년에 이르러서는 3,601,000 갤론으로, 1735년에 와서는 5,394,000 갤론으로, 1742년에는 7,000,000 갤론으로, 그리고 1750년에는 11,000,000 갤론이라는 극대의 수치에 이르렀다."53)

이와같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음주로 인한 술취함의 만연은 브레디에 의하면 사회적 퇴행의 원인이며 동시에 그 결과로서 그 시대의 타락된 시대정신의 표현이다. 이에 대해 정부가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독주 매매를 금지시키기 위해 1736년과 1743년에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효력이 없었다.54)

18세기 영국 사회는 도박이 만연하였던 사회악의 터전이었다.

도박은 전국적인 광증이 되어 상하 양원은 도박가들로 가득 찼고 런던의 클럽들은 거의가 도박 소굴이었다. 마운트포드(Mountford) 경처럼 도박에서 막대한 돈을 잃고 자살한 사람도 생겨났고 여자들도 거기에 빠져들었다. 수상의 딸인 펠햄(Pelham)은 도박 중독자로 소문난 대표자였다.  도박은 18세기 초반 정부에 의해 조장되기도 했는데 국가 복권추첨을 통해 웨스터민스터 다리 건설(1736)이나 영국 박물관 건립(1753)의 재원을 마련키도 했던 것이다.55)

이 시대의 스포츠는 공격적이고, 격정적이며 위험했고, 잔인하고, 도박성이 현저했다. 사람들은 곰과 황소 그리고 오소리 괴롭히기와 투계를 즐겼다. 그러한 것들은 생명이 있는 짐승들에게 너무 잔인한 행위들로서, 생명이 있는 동물들을 괴롭히는 것을 오락으로 삼는 이러한 행위는 인간의 가장 끔찍한 잔인성의 한 형태가 아닐 수 없다.

곤봉 경기와 권투 역시 인기 있는 스포츠였다. 곤봉경기는 곤봉으로 상대방의 머리에서 먼저 피를 흘리게 한 경기자가 그 한 판 승부의 승자가 되는 것이었다. 복싱경기는 노골적인 살육행위나 마찬가지였다. 권투장갑도 끼지 않은 채 보호장치도 없이 시합에 임했던 것이다.56)

18세기의 사회 상황에 대하여 강근환 박사는 [신학과 선교] 제3집에 발표한 논문에서 W. H. Fitchett를 인용하며 다음과 같이 명료하게 묘사하고 있다.

"참으로 영국 사회는 어두웠고 , 그 어두움은 날로 더욱 짙어만 갔다. 영국의 사회는 모든 면에 있어서 질병으로 만연되어 있었다. 사상성은 고상하지 못하였고, 스포츠는 잔인하였으며, 공중생활은 부패하였고, 잘못에 대한 부끄러움이 없었다. 정치인 법관 종교인, 민중 할 것 없이 모두 부패하였고 잔인무도 하였다. 이 때야말로 채찍과 태형의 시대요 술주정뱅이의 시대였다. 간음은 일종의 스포츠처럼 되어 심지어는 부정을 행한 아내보다도 배반당한 남편이 오히려 창피를 당하는 판이었다."57)

3. 종교-사상적 상황

가. 교회-성직자의 타락

강근환 박사는 "18세기 초기의 영국의 부패는 종교, 특히 그 지도자들의 타락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어느 시대가 되었던 그 시대의 죄악성을 겉으로 나타난 악으로만 판단하는 것은 너무 피상적인 것이다. 그 내면성을 중시하여야 한다"58)고 말하였다. 그는 계속해서 피체트(W. H. Fitchett)를 인용하여 이르기를 "그러므로 18세기의 영국이 얼마나 도덕적으로 타락하였는가를 알려면 그 때의 가장 낮은 분야를 보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 가장 높은 지도층 곧 그 시대의 종교계, 더 나아가 종교 지도자들을 보고 판단"해야 함을 역설한다.59)

그러면 18세기 영국을 규정할 만한 영국교회 내의 상황은 어떠했는가?

18세기 영국 성직자들은 영력이 전혀 고갈된 신앙상태의 천하고 속화된 자들이었다.60) 앵글리칸 교회의 교회생활은 단순히 외형적인 모양뿐이었다. 귀족계급은 종교를 경시하였고, 시민들은 무관심하였으며 서민층은 '산업경영자'들 모두 종교적 영향권으로부터 완전히 소외되었거나 무시되었었다.61)

18세기의 교회, 특히 국교의 이러한 영적인 무기력과 태만 그리고 성직 남용은 크게 두가지 원인에서 연유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나는 세개의 비극적 사건이요 다른 하나는 이신론(Deism)의 영향이다.

영국 국교회가 부패하게 된 원인에 대해 브래디는 반청교도 숙청, 충성선서 거부자 추방, 그리고 성직회의 억압 이 세 가지는 빼놓을 수 없는 요인이라고 한다.

청교도들을 박해하기 위한 여러 조치들이 취해 졌지만 특히 통일령(The Act of Uniformity)의 결과로 양심상 국가의 그 조치에 순응할 수 없었던 약 2,000명의 교구 목사들이 내쫓기게 되었는데 이 추방은 영국 전체 성직자의 20%에 해당되었다. 중요한 문제는 그린(J. R. Green)의 말처럼 "추방당한 교구 목사들은 그들 사회에서 가장 학식이 있고 가장 활동적인 인물이었다…. 그 추방은 종교개혁 시대로부터 국교회의 생활에 가장 활발하고 평판이 좋은 역할을 해 온 중요한 일파를 추방한 것이었다"는 데 있었다. 두 번째 비극은 1689년과 1690년에 발생했다. 윌리엄 3세(William III)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는 극우파 8명의 고위 성직자와 400명이 넘는 성직자들이 충성서약(The Oath of Allegiance)에 서명을 거부하여 역시 추방을 당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 중에는 대주교인 생크로프트(Sancroft), 경건한 영혼을 지닌 감독이며 찬송가 작가 켄(Ken), 그리고 유명한 신비주의자인 윌리엄 로우(William Law)도 들어 있었다. 이 두 번째 비극으로 인하여 영국 국교는 좌익과 우익 양자가 제거되었다. 이제 국교 내에는 온건하고 무리하지 않는 사람들과 기회주의자, 이기주의자들만 남게 되었고 참된 신앙인들은 사라지게 되었다. 세 번째 비극은 1709년 11월에 연유된 것으로 성직자들의 입을 봉쇄하기 위해 19세기 중엽까지 성직회의를 허용하지 않은 사건이다.62)

많은 감독들은 공로보다는 정치적인 연줄에 의해 그들의 지위를 획득했다. 이러한 성직 정치의 가장 분명한 타락의 표시는 주로 서임권, 성직록 겸임 및 성직자 비거주 문제에서 명백히 드러났다.63)

대주교와 고위 성직자들은 왕과 같은 생활을 즐겼고  과음과 사냥을 즐기는 많은 교구 목사들은 정치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과도한 생계비를 챙겼으나, 다수의 가난한 성직자들은 연간 20~60 파운드의 수입으로 살아야 했다. 이런 불균형의 결과, 대주교들의 연간 평균 수입은 국교회 성직자 절반이 넘는 가난한 성직자들의 평균 수입의 200배가 넘었다고 한다.64)

나. 독일 경건주의(Pietism)의 영향
종교 개혁 이후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가 스콜라철학에 깊이 물들어 교리적이고 점차 경직화되어가자 필립 야콥 슈페너(Philip Jakob Spener, 1635-1705)에 의해 신앙의 뜨거움과 경건한 열정을 강조하는 운동이 일어났다. 스페너는 1670년부터 주일 예배 후 자신의 자택에서 작은 모임을 갖기 시작했는데 이 모임은 '교회 안의 작은 교회 운동'(ecclesiola in ecclesia) 혹은 Coligia Pietatis로 불려졌다.65) 또한 그의 책 『경건의 소원(Pia Desideria』이 제시하는 교회개혁의 구체적 방안들은 성직자 및 신자의 전인격적 갱신과 교회의 개혁, 신자의 회개와 경건생활, 설교의 개혁 등으로 대표되는데 이런 것들은 후일 웨슬레의 '체험적 사회부흥운동'에 있어서 간과될 수 없는 전통이었다.

슈페너의 경건주의 운동이 내면적인 것이었다면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August Hermann Franke, 1663-1727)의 경건주의는 사회적 실천에 있어서 진일보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는 1694년 할레(Halle)대학교를 설립하고 가난한 자를 위한 학교(1695), 고아원(1696), 고등학교(1697) 등을 세웠다. 이것은 개인의 변화를 통한 사회의 변화를 꿈꾸는 것이었다.

독일 경건주의가 가진 한계 즉, 개인적 회심과 체험의 강조로 인한 대 사회적 봉사약화를 인정하더라도 프랑케에게서 비롯된 사회적 봉사활동은 경건주의자들의 선교열정과 함께 18세기 웨슬리와 메도디스트들에게는 좋은 교훈이 되었을 것이다.

18세기 부흥운동의 주자인 웨슬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만난 모라비안 형제단의 경건주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모라비안(Moravianism) 경건주의는 진젠돌프 백작(Nikolas Ludwig Zinzendorf, 1700-1760)에 의해 시작되었다. 진젠돌프는 경건주의 운동이 강했던 드레스덴(Dresden)에서 태어났는데, 그의 아버지가 스페너의 친구였다. 그는 프랑케가 설립한 학교(Paedagogium)와 할레대학교를 나왔다. 30년 전쟁 때 보헤미아에서 피난 온 형제들에게 자기 땅인 삭소니의 헤른후트(Herrnhut)를 내어 주면서 지도자가 되었다. 이들은 출신지역 때문에 모라비안이라 불려졌다. 그들의 신학은 루터의 의인화 신학과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을 받아들인 경건주의였다.66)

그러나 비록 웨슬리가 스팡겐베르크나 피터 뵐러등의 모라비안의 충고를 받아들이고 모라비안의 집회인 올더스게잇의 체험을 하였지만 웨슬리의 부흥운동을 모라비안적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웨슬리는 그들의 정숙주의(Quiestism)와 독일식 경건주의에 대하여 비판하였다.67)

다. 이신론의 만연

영국에서 이신론(Deism)이 만연할 때 독일에서는 합리주의(Rationalism) 또는 계몽주의(Enlightment)가 일어났고 프랑스에서는 자연주의(Natralism) 또는 낭만주의(Romanticism)가 일어났다.68) 

독일의 합리주의는 성서의 합리적 해석, 곧 신화와 초자연적 기적을 부인하고, 역사적 예수만을 인정하며 구속주 그리스도에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 또한 도덕적 유토피아를 꿈꾸는 도덕종교를 주장하였고 프랑스의 자연주의는 빈부의 격차, 상하 계급의 차이를 탈피하는 자연으로의 복귀를 주장한다. 교육에 의한 유토피아를 자연에 이루려는 이상은 자연히 자연계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제도와 교리의 종교를 부인하고 자연종교의 구현을 목표로 하였다.69) 이와같은 유럽의 사상적 변화는 영국의 매튜 틴달(Matthew Tindal), 토마스 첩(Thomas Chubb, 로드 허버트(Lord Herbert of Cherbery) 등으로 대표되는 이신론 사상에서도 표현되었다. 이신론은 이성으로 종교를 재해석하고 성서의 특수계시를 부인하며 종교의 보편성을 주장하였다. 하나님은 세계를 창조하였지만 세계의 운행에는 관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시계가 제조업자의 간섭없이 작동하는 것처럼 역사는 하나님의 간섭없이 인간에 의해 전개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신론의 사고는 영국교회가 메시지를 잃고 현재에 안주하게 된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마디로, 영국 교회를 타락으로 이끌고 간 중요한 사상적 영향은 이신론으로부터 받은 바 크다. "피체트에 의하면 이신론은 도덕적으로 무기력한 것이었다. 신의 존재를 부인하지는 않으나 인간의 삶 속에서 역사하시는 존재로서의 하나님은 제거해 버리고 저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계시의 황금다리를 부셔버리며 성서의 권위를 형편없이 떨어뜨렸다.70) "신학에 있어서는 그리스도의 존재는 그늘에 숨겨져 희미해져버린 채 교리나 전통의 렛델 역할밖에는 되지 못하였다. 그리스도의 복음은 기쁜 소식으로서가 아니라 좋은 충고에 불과하였다."71)

교회는 점차 이신론의 영향을 받아 사회의 소금 역할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무력하게 퇴화되었으며 형식적이 되어갔다. 그리하여 종교는 지적 토론의 문제로 간주되기에 이르렀다.   그로 인해 정열이나 영적인 체험은 냉각되고 마비되었으며 창조주를 향한 영혼의 서정적인 격발인 기도는 열광주의로 불리워졌고 냉정한 이성이 삶의 충분한 안내자로 공표 되었다. 이신론적인 합리주의의 세련된 표면 그 아래에서 영적인 샘물은 고갈되고 있었던 것이다.72)

Ⅱ. 부흥운동가들의 신학과 실천

1. 죠지 휫필드(George Whitefield, 1714-1770)

가. 생애

죠지 휫필드는 1714년 12월 16일 글로스터에 있는 벨이라는 여관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시절에 부친을 여의었는데 스스로 말하기를 자기 자신은 젊은이들이 빠지기 쉬운 거의 모든 죄를 저질렀다고 하였다. 그는 행복하지 못하였고 예민한 양심은 죄책을 느끼게 되었다. 그는 결국 그가 일하던 술집을 나와 옥스퍼드로 향하였다.그는 18세에 옥스퍼드의 팸브록 칼리지에 근로장학생으로 입학하여 수학함으로서 그의 일생이 변화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두명의 웨슬리, 요한과 그의 동생 찰스를 알게 되었고 엄격한 생활 방식(method) 때문에 처음으로 Methodists로 불렸던 경건한 모임의 일원이 되었다.73)

당시 옥스퍼드에는 신앙적으로 열심이 있는 학생들의 모임이 있었는데, 그들은 '성경 벌레들', '성경꾼들', '성찬 증시자들', '형식주의자들', '홀리 클럽' 등으로 불렸다. 그 모임에  속한 사람들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 긴 경건의 시간을 갖는 것을 실천했다.74)그 모임 회원의 한 사람인 찰스 웨슬리가 휫필드의 종교적으로 열심히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아침 식사에 초대했다. 이것은 그 두 사람이 역사적인 우정을 맺게 되는 발단이 되었다.

홀리 클럽의 영향 아래서 휫필드는 그의 사고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은 책 한 권을 접하게 된다. 그것은 스코틀랜드 사람 헨리 스쿠걸이 쓴 "인간의 영혼 속에 있는 하나님의 생명"이라는 제목의 책이었다. 그때까지 휫필드는 '중생'의 기적에 대해 아무 것도 몰랐다. 그는 선행으로서 천국의 도상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그 책을 읽고 그는 지금까지의 그런 생각들이 완전히 잘못된 것이었음을 깨닫게 되었다.75)그는 1735년에 회심하여 1736년부터 복음을 설교하기 시작했다. 1736년은 그의 부흥운동에서 중요한 해로서 6월 20일 그의 나이 21세에 글로스터의 감독 벤슨으로부터 안수를 받고 일주일 후 6월 27일에 성마리아 크립트 교회에서 처음으로 설교하였다. 8월에는 런던의 비셥스게이트에서 큰 군중을 모아 놓고 설교집회를 열었고 런던타워 예배당의 대리목사로 봉직하였다. 두달 후 햄프셔에서 교구목사로 일하기 시작하였고 죤 웨슬리의 영향을 받아 죠지아 선교에 대한 소명을 느끼게 되었다. 1731년 1월 브리스톨에서 첫설교를 하고 1737년 5월까지 이곳에서의 설교활동은 계속되었다. 휫필드는 광부 등의 가난한 자녀들을 위해 킹스우드 스쿨을 설립했으며 웨일즈 장로교회로 불리는 웰쉬 칼빈적 메도디스트 교회의 지도자가되었다. 그는 1743년에 이 교회의 초대 회장이 되었다. 그의 영향은 스코틀랜드를 거쳐 미국으로 확대되었다. 1740년 이후 휫필드가 미국 교회에 끼친 영향은 1735년 제1차 대각성운동을 능가하는 제2차 대각성운동이었다. 그는 미국을 일곱차례 방문하였으며 대서양을 일곱번이나 건너는 선교의 열정은 그가 34년간 18,000회 이상의 설교를 했다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76)

나. 휫필드 부흥운동의 특징 -위대한 설교가

휫필드의 설교의 주된 내용은 원죄와 중생이었으며 성령의 직접적이고 즉각적이고 내적인 영향을 믿었다. 그의 설교의 또다른 주제는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입는다는 사실이었다. 그의 설교는 중생치 못한 자연인의 마음의 부패성과 신생의 필연성에 대한 것이었다.77)

그는 신학적인 면에서 웨슬리와 차이를 느끼고 결별하였는데, 웨슬리는 알미니안적인 신학을 가지고 있었는데 비하여 휫필드는 칼빈주의 신학을 가지고 있었다. 웨슬리와 휫필드는 다같이 평생 영국성공회 성직자로 남아 있었다. 영국성공회는 오랫동안 청교도와 투쟁하는 동안 극단적인 칼빈주의를 배격하게 되었고, 알미니안 사상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웨슬리는 이러한 전통을 따라서 알미니안 사상을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78)브리스톨을 떠나면서 휫필드는 웨슬리가 "예정(predestination) 교리에 관해서는 아무런 논쟁을 하지말기를" 기원했다. 웨슬리는 휫필드가 바로 칼빈주의라는 신학 체계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 당시의 상황을 볼 때 예정론에 관해 "논쟁하지 말라"는 휫필드의 권고는 웨슬리로서는 따르기 힘든 권고였다.79)결별은 필연적인 것처럼 보였다. 복음적 알미니우스주의와 예정론의 결별이 이뤄진 것이다.

휫필드는 1737년 런던에서 중생에 관한 일곱편으로 이뤄진 설교를 출판했는데 여기서 "중생은 외적인 고백뿐 아니라 내적인 변화요, 마음의 정결이요, 성령의 내주이고, 그러므로 신비적으로 참되고 생동감 있는 신앙에 의하여 신비적으로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것이며, 따라서 그리스도로부터 영적인 덕목을 받는 것이다"라고 정의한다.  또한 그는 주장하기를 많은 사람들이 칭의와 중생을 구별하는데, 그러나 이것을 구별하려는 것은 중대한 잘못이라고 못박는다.80)

휫필드에 의하면 물세례는 결코 참된 신자의 표징이 될 수 없다. 참된 신자의 표시는 외적인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내면적인 데에 있다. 그 내면적인 것이란 성령으로 말미암는 중생을 말한다. 휫필드는 물세례가 아니라 성령세례가 참된 신자의 표징이라고 생각했으며, 그가 말하는 성령세례란 곧 중생을 말한다.81)

휫필드는 한 편지에 쓰기를 "내가 칼빈주의적 대요를 포용하는 것은 칼빈 때문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것을 나에게 가르치셨기 때문입니다"라고 했다.82)

설교가로서 그의 신학적 소신은 확고하였으며 그것은 웨슬리와의 결별을 고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음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다. 공헌

죠지 휫필드는 옥스퍼드의 "거룩한 모임"의 회원이었으며, 그의 업적은 신학적인 면에서 웨슬리와 약간 상이했다고 인정할 수 있으나 웨슬리와 병행했다. 휫필드가 기독교 사상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그가 모든 면에서 감리교주의자였음에도 불구하고 , 그의 신학은-자신은 칼빈을 읽은 일이 없다고 강력하게 말하지만-알미니우스주의자라기보다는 견실한 칼빈주의였다는 점이다.83) 그와 동시대 사람들은 그가 웨슬리보다도 더 설득력 있는 설교가라고 생각했으며, 그의 활동은 급기야 웰쉬-칼빈주의-감리교-교회(Welsh Calvinistic Methodist Church)를 탄생시켰다.84)

휫필드의 18세기의 위대한 설교가로서의 면모는 당시의 잡지였던 "신사의 잡지(The Gentleman's Magazine)" 기사를 통해서 역설적으로 엿볼 수 있다. 기사에 의하면,

"한 사회 내에서 열등한 사람의 근면은 그 부요의 원천이 된다. 그러나 휫필드 목사와 같은 사람이 5,6천 명의 대중으로부터 매일의 노동을 그의 설교로 앗아간다면 적은 시간이지만 그 사회에 가져오는 손해는 얼마나 큰 것인가! 내 견해로는 만일 이 신사가 킹스우드의 광부들에게 자진해서 설교를 시작한 것처럼 여기서도 계속 설교를 해나간다면 브리스톨 시 근방에서 얼마만큼의 석탄 가 폭등이 일어날지 모르겠다."85)

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런 기록은 그의 설교에 얼마나 많은 이들이 매료되었으며 그 영향력이 얼마나 지대했는가를 단편적으로 보여준다.

평일이나 주일이나 그가 전도하는 곳의 교회는 청중이 빽빽이 들어찼고 굉장한 평판을 낳곤 하였다. 명백한 사실은 참으로 웅변을 잘하고 즉석에서 아무 준비 없이 설교를 하는 전도자가 순수한 복음을 보기 드문 목소리와 훌륭한 몸짓으로 전하는 것인데, 그 때 런던에서는 전혀 새로운 체험이었다. 그의 청중들은 놀라고 황홀해진 나머지 넋을 잃었다.86) 1739년부터 1770년 그가 사망하기까지 31년 동안 그는 오직 한 가지 일에 매달리는 사람이었으며 항상 주 예수의 일만을 추구했던 사람이었다.87) 그는 혼신을 다해 청중들에게 설교했다.

휘필드는 웨슬리의 정확한 논리성과 비상한 행정력, 그리고 깊고도 강인한 성품이 결여되었으며 웨슬리는 그보다 좀 느리기는 하지만 더욱 확고한 편이었다. 휫필드는 보다 신속하고 열렬하였으며 충동적이지만 그러나 웨슬리와 같은 종교적인 심원함을 소유하였으며 더욱이 그는 웨슬리가 알지 못할 정력적인 영역에서 살았다. 거기에 첨가하여 그는 웨슬리로서는 당할 수 없는 웅변가였다.88) 그는 그의 일생에 걸친 설교사역에서 엡 2장 8절의 말씀을 주제로 삼았다. "너희가 그 은혜를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었나니 이것이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개혁자의 신앙을 이어받아, 성령의 능력을 힘입어, 사람을 변화시키는 일에 진력한 휫필드의 삶은 굳어진 18세기 교회의 문을 부수고 무뎌진 명목상 신자들의 마음을 흔들어 놓았다. 사람들은 그의 설교에 감격하였고 내면적 부흥운동의 큰 줄기로서 그들을 중생의 길로 인도하였다.

2. 요한 웨슬리(John Wesley, 1703-1791)

가. 생애와 신앙적 배경

요한 웨슬리는 1703년 부친 사무엘 웨슬리와 모친 수산나 사이에서 첫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엡워드의 영국국교회 목사로서 청교도적 영향을 받았던 사람이었다. 요한 웨슬리의 신앙적 배경의 한 축을 이루는 부친의 영향을 몇가지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관 - 사무엘 웨슬리는 "성경연구와 성경과 관련된 저술에 몰두했는데 욥기의 히브리어 단어를 일일이 검토하는 등 철저하게 연구하여 200여 쪽의 방대한 욥기 주석을 출판할 정도였다. 요한이 성경의 원어인 히브리어와 헬라어는 물론 라틴어에 대하여 능통한 것은 아버지 사무엘의 영향이었다."89)
둘째, 세계관 - 사무엘은 교회가 세계를 향한 선교적 차원에서 사역을 감당해야 된다는 환상과 확신을 갖고 있었다. 그는 젊었을 때 이러한 확신 때문에 "복음전파를 위한 신도회"를 위한 선교사로 자신을 헌신한 적이 있다. 그의 노년에 자신이 다 할 수 없는 조지아 선교를 위하여 사랑하는 사위를 추천했으며 요한도 복음적 회심을 경험하기 전에 미국의 인디안들을 위하여 선교사로 간 바 있다. 그리고 저 유명한 올더스게이트의 회심 이후에 "세계는 나의 교구"라는 신념으로 사역하였다.90)
셋째, 조직의 면모 - 사무엘 웨슬리는 당시의 신도회를 옹호하였는데, 그는 후에 스스로도 그러한 신도회를 만들었다. 요한 웨슬리의 신도회에 대한 자세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었다. 그는 복음적 회심 이전에도 가는 곳마다 신도회를 만들었다. 그리고 복음적 회심도 올더스게이트에 있는 어느 신도회에서였다. 실제로 1739년에는 존 웨슬리도 아버지, 사무엘의 모형을 사용하여 신도회를 시작하였던 것이다.91)옥스퍼드에서의 Holy Club 운영과 후일 메도디스트 운동의 핵이 되는 속(Class)의 운영 등은 부친의 조직가적인 면모를 이어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웨슬리는 죽을 때까지 독립된 교회를 조직하기를 완강히 거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여러 형태의 조직을 형성하고 유용하게 사용하였다. 그의 여러 조직 가운데 조모임, 속회, 회개회, 선택자회 등은 웨슬리가 조직하고 요긴하게 활용한 소그룹 운동이었다.92)웨슬리의 이러한 조직들은 산업화 사회에서 극빈층으로 전락되고 노동력을 정당한 대가없이 착취당하던 노동자들의 규합체인 노동조합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실제로 노동조합의 조직 및 핵심인물들은 '속회'의 조직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실제로 이 '속회'의 지도자들이 후일 노동조합의 중요한 인물들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그의 어머니 수산나는 청교도에서 영향을 받은 이로서 웨슬리 형제들에게 있어서 경건생활의 모범이었으며 그것을 지도한 선생이었다.

수산나는 "엄격한 시간표, 하나님 앞에서의 묵상과 자기 성찰을 위한 규칙적인 시간, 영적 일기의 기록, 안식일의 엄수"93)등의 청교도적 경건을 가르쳤다.

무엇보다도 수잔나는 자녀들의 영적 생활을 체계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그녀는 다른 어떤 것보다 "자녀들의 영혼 구원을 숭고한 목적"으로 삼고 있었다.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가장 좋은 장은 역시 가정이었다. 청교도들에 의하면 가정은 "작은 단위의 교회로서, 기도, 성경 읽기, 교리 문답 및 세부적인 신앙에 대한 지침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곳"94)이었다.자녀들이 하나님을 경외하면서 성장하려면 될 수 있는 대로 어려서부터 고집이 꺾여야 했다. 수잔나는 의지를 제어하려는 목적으로 여러 가지의 규율을 만들었으며, 그것들을 자녀 훈련에 엄격히 적용하였다. 물론 이런 수잔나의 교육방법은 너무 엄격하다는 비난을 받은 것도 사실이었으나, 존 웨슬리는 어려서부터 굴복과 단련을 터득하였다.95)

그녀는 자녀들과 더불어 신앙 문제는 물론 그들의 영적 성장에 대하여서도 토론하였다. 요한 웨슬리의 인격에 미친 어머니의 영향은 절대적이었다. 요한이 감리회 운동을 시작했을 때 어머니의 삶을 본받아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 개개인의 영혼을 돌보았을 뿐 아니라, 소그룹을 통하여 각 개인의 필요를 채워 주었던 것이다.96)

위에서 언급한 사무엘과 수산나의 영향이 내적인 것이었다면 다음의 몇가지 요소들은 그가 18세기 부흥운동을 주도하는데 목회적, 신학적 형성과 실천의 토대가 되는 것들이었다.

그는 영국국교회, 청교도, 모라비안 경건주의, 마틴 루터의 주석, 가톨릭교회의 신비주의, 동방교회의 교부들 등 많은 것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뿐 아니라 웨슬리는 토마스 아켐피스, 제레미 테일러, 윌리암 로와 같은 신비주의 저자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그 외에도 퀘이커 교도와 미국의 조나단 에드워즈도 웨슬리에게 영향을 미쳤다.97)

나. 웨슬리 부흥운동의 특징 - 신학사상

웨슬리의 신학사상을 여기서 모두 논할 수는 없다. 단지 여기서 논하는 것은 그의 신학사상을 사회적 성화의 빛아래서 보려는 것이다. 이 논문이 의도하는 바 18세기 부흥운동가들의 사회적 성화와 실천으로서, 18세기 영국의 전반적 암흑 상황에서 위대한 부흥의 물결을 일으켰던 웨슬리의 운동이 어떤 신학적 토대에 근거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그 성격을 규명하는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1) 복음적 신인협조설(Evangelica Synergism)

웨슬리에 있어서 인간은 모두 원죄를 가지고 태어난다. 그런데 성령의 선재적 은총으로 믿는 성도나 믿지 않는 자연인들 속에도 부분적인 자유의지의 회복이 이루어졌다고 해석한다. 이 선재적 은총은 자유의지 뿐 아니라 양심과 종교성으로도 나타난다. 이 선재적 은총으로 구원받는 것은 아니다. 구원을 향해-은총을 향해-마음의 문을 열 수 있는 것을 뜻한다. 또한 구원의 은총을 열망하는 열심과 사모하는 마음도 의미한다. 그리고 의롭다 함을 얻고 거듭난 성도라도 자유의지 때문에 타락할 수도 있다. 두려움과 떨림으로 계속 구원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성령의 은총의 주도권과 인간의 자유 의지적 응답과 참여에 의해 구원이 완성된다.98)

웨슬리의 성화개념을 위와 같은 맥락에서 살펴보면, 하나님의 성령이 먼저 역사하지만 거기에 대한 인간의 자유의지의 응답으로 성화가 이루어진다. 신앙의인화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은총으로만 이루어지고 그와 동시에 일어나는 거듭남도 성령의 내재한 은총으로 가능하지만, 성화는 믿음(하나님의 선물)과 사랑(인간의 선행적 참여)으로 이루어진다99)고 할 수 있다.

웨슬리의 이러한 복음적 신인협조설(혹은 협동설)과 성화에 대한 이해는 크리스찬의 대 사회적 책임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신학적 근거가 된다. 만약 하나님의 역사에서 인간의 응답과 참여가 결여된다거나 불필요하다면 인간에게 주어지는 하나님의 말씀은 그것이 은총임에도 불구하고 인간 상호간의 관계성에서 볼 때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그렇지만 은총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수평적 행위 즉 '사랑'의 행위가 충만한 것은 인간의 역할의 극소화를 초래하는 정적인 이해를 벗어나 역동적 삶의 에너지와 모티브를 제공한다. 웨슬레의 '복음적 신인협조설'이 하나님을 인간으로부터 멀리 유리하는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 펠라기우스적인 자유의지가 아닌 선행은총으로 주어진 자유의지의 활용은 하나님의 역사하심에 동참하는 인간의 책임적 자세이다.

(2) 체험의 강조와 구체적 행동

웨슬리의 부흥운동이 동시대 혹은 다른 시대의 것들과 구별되는 것은 그 신앙과 신학적 내용이 사회적인 파급효과가 있었고 실로 사회적 메시지를 포함했다는 데 있다. 구체적인 사회참여의 모습은 비록 목회자로서의 규정된 범위내에서 이뤄진 것이지만 기독교의 내면적 체험주의를 극복하고 대 사회적 체험주의로 나아갈 수 있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기독교 신앙에서 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웨슬리의 태도는 자신의 영적인 체험으로부터 기인한다. 그는 1738년 5월 24일의 체험으로 자신의 긴 신앙적 갈등에서 해방되었다. 그후 웨슬리는 타인의 신앙체험을 자신의 체험의 빛에서 이해하고 설명하였다. 이리하여 경험에 대한 강조는 그의 신학방법에 있어서 독특하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100)

성령은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이라는 그 사실을 우리의 심령 속에 증거 하신다. 참으로 웨슬리는 그리스도를 그 자신의 구주로서 인격적으로 맞이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스스로 확신이라고 칭하는 복된 체험의 기쁨을 맛보았을 뿐 아니라 전세계의 모든 백성에게 이 기쁜 확신의 체험을 외쳤었다.101)

웨슬리는 루터가 지푸라기 같은 책이라고 말했던 '야고보서'에 대하여 그 행함에 대한 가르침이 로마서적 믿음을 전제한 행함이지 믿음 이전의 선행이 아니라고 하였으며 도덕적 행동을 강조하는 산산수훈을 중요한 설교본문으로 사용하였다. 그의 설교 152편중 무려 13편이 산상수훈 해설인데 그는 산상수훈 강해에서 사회적 성화개념과 지상의 하나님 나라 실현을 아주 강하게 주장하였다.102)웨슬리는 신앙의 본질은 내면적이지만 신앙의 증거는 사회적이라고 강조한다. 사회적 성화 아닌 성화를 모른다고 말하며 사회적 종교 아닌 기독교를 모른다고 말한다.103)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개인적 체험은 구체적 실천이라는 열매로 나타날 때 그 주어진 뜻에 부합하다. 경험이 자기 혹은 교회 내의 것으로 전락할 때 그것은 오히려 영국국교회가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무관한 채 자기 안으로 자물쇠를 걸어 잠그고 잠들어 있었던 것처럼 냉담해지고 건조해지며 화석화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웨슬리의 체험을 중요하게 여기는 신앙과 신학은 당시 사회를 움직이고 또 녹여낼 수 있는 충분한 요건이 되었던 것이다.

(3) 그리스도인의 완전

기독교인의 삶과 기독교인의 완전에 관한 웨슬리의 견해는 이상주의와 현실주의가 혼합된 것이었다. 웨슬리의 견해가 이상주의적이었던 까닭은 인간의 본성은 성결의 큰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주장이 하나님의 말씀 속에 있다고 웨슬리가 믿었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하면, 웨슬리는 인간이 인간 속에 역사하시는 그리스도의 변화시키시는 능력과 협력함을 통하여 성결면에서 성장할 능력을 갖고 있음을 크게 믿었다. 웨슬리는 죄의 용서함을 받은 인간은 죄를 짓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죄를 짓지 않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법을 실제로, 고의적으로 범하지 않음을 뜻하였다. 웨슬리는 인간이 이생에서 완전한 성화(Entire Sanctification)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그의 청중들에게 완전한 성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힘쓰고 그것에 도달할 것을 기대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완전한 성화에 도달하였다고 주장한 적은 없으며, 다른 어떤 사람이 이런 단계에 도달하였음을 인정하기도 주저하였다. 다만 웨슬리에게 있어서 완전이란 개념은 '그리스도의 온 마음'을 옷입는 것이었다. 이것이 인생의 과제였고 웨슬리는 이런 과제를 달성하려는 노력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였다.104)

웨슬리는 점진적인 성화에 순간적인 단계의 성화를 밀착시키는 데는 두 개의 순간적인 체험이 있다고 했다, 하나는 중생과 동시에 일어나는 초기의 성화요, 다른 하나는 그 후에 오는 또 하나의 순간적인 체험 곧 온전한 성화이다.105)

웨슬리는 모든 신자를 향하여 이 온전한 성화 곧 기독자 완전에로 나가라고 권고했다. 그가 기독자 완전이라고 하여 인간이 그의 무지나 실수 등의 제약성을 탈피하여 자유를 얻게 된다고 본 것은 아니다. 제약성을 벗어나는 자유에 대하여는 영화의 순간으로 미룸으로써 그도 다른 종교개혁자들과 견해를 같이했다. 죄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동기가 문제되는 것이지 물체에 깃들이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웨슬리의 기독자 완전은 다만 동기에서의 완전 곧 의도의 순수성을 의미한다. 인간의 한계성을 가진 그대로의 완전이다.106)

웨슬리의 이러한 완전사상은 은총의 낙관주의에 근거한다.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선행은총은 우리로 하여금 완전을 향해 정진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향한 노정은 개인적 차원에서만 그치는 것은 아니다.  그런 면에서 웨슬리의 완전 사상은 개인적 성결 사상을 넘어 사회적 성화의 사상과 그 궤를 같이 한다. 세속성과 죄악성으로부터 분리되는 개인적 성화는 외적 행위의 죄 뿐 아니라 내적인 죄의 씻음이다. 그런데 이런 개인적 성화는 사회적 성화 즉, 개인적 성화를 통해 얻은 능력으로 세속을 찾아가는 '성육신적 참여'를 통해 얻어진다. 이것은 웨슬리에 의하면 사랑의 적극적인 행위로서 세상을 변화시키는 적극적 성화라 할 수 있다.

Ⅲ. 요한 웨슬리와 메도디스트에 의한 사회 변혁

완전한 사랑은 개인주의적 완전주의자들이 무시하는 사회봉사를 함축하고 있다. 그 사랑은 곧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인 만큼 타인에 대한 사랑의 경험을 찾아볼 수 없는 한 하나님에 대한 사랑의 느낌은 진실치 못한 것이다. 그리하여 완전한 사랑의 교리는 웨슬리파 사람들에게서 가장 좋은 행동적 열매를 맺게 하였던 것이다.107)

사랑의 구체적 실현으로 이뤄진 18세기 웨슬리의 부흥운동이 중요한 점은 그 신앙적 계승과 발전에서 뿐 아니라 내면적이고 개인적인 신앙이 사회적 열매로 맺어졌다는데 있다. 신앙의 지평을 '나'에서 '너' 혹은 '우리'로 넓힌 것이다. 어떠한 종교라도 그것이 개인주의에 머물게 될 때 그것은 자칫 미신적이고 비 사회적인 자기만의 방에 갇히고 말 것이다. 그러나 웨슬리와 메도디스트들의 관심은 그 벽을 넘어서는 것이었다.웨슬리는 비록 사회개혁자는 아니었지만 신앙의 외연으로서 맺어지는 사회적 열매들을 전제하면 그의 메시지는 사회적으로도 큰 관심사가 될 수 있었다. 그의 영적 메시지 즉 개인에게 경험되는 하나님의 사랑이 이웃사랑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그 자신의 확신은 부패하고 경직된 18세기 영국을 변화시키기에 충분하였다. 변화하지 않으면 몰락할 수밖에 없는 역사의 필연 앞에서 영국이 처한 시대적, 사회적  상황은 혁명의 전야와 같았다고 할 수 있었다.

피체트(Fitchett)에 의하면 대혁명이 일어났던 프랑스와는 달리 영국을 정치적 혁명으로부터 피할 수 있게 한 원인은 영국에는 웨슬리와 휫필드가 일으킨 영적 혁명(Spiritual Revolution)이 이미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108)

이들의 대부흥운동은 Anglo-Saxon족의 도덕관념을 완전히 개조하였고, 이 근본적인 변화는 수천에 달하는 다른 변화를 가져오는 비결이 되었다. 특별히 그의 사람들의 양심에 향한, 인도주의적 호소는 참정권의 개혁, 노예매매에 대한 저항, 감옥의 개선 등 많은 개혁을 일으켰다. 그리고 웨슬리와 그의 복음주의자들이 가르쳐 준 주의들과 새로운 정신은 일찍이 초기에 제정되었던 여러 가지 잔혹한 법규들을 없애게 하는 강력한 해소제가 되었다.109)

이제 대부흥운동은 사회 전반에 걸쳐 놀라운 영향을 끼치는 것이었다. 그것은 주일 학교를 일으킨 원동력이 되었고, 군대와 대학과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110) 그는 가난한 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시약소를 세웠고, 정치적인 부패에 저항하여 싸웠으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하여 구제고용을 시행하였다.111)뿐만 아니라 현대 모든 위대하고 특징적인 공헌은 한 마디로 말해서 웨슬리의 직접 혹은 간접적인 후예들에게서 온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게서 반영된 그의 간접적인 영향은 아마도 그 자신이 한 직접적인 결과보다 더 위대하고 훌륭하다 할 것이다.112)노예제도는 유트레히트 조약이후 영국의 부를 증대시켜온 가장 큰 요인이었다. 그러나 노예제도는 웨슬리에게 있어서 결코 좌시될 수 없는 비성경적인 것이었고 비인간적인 악이었다.

웨슬리는 1774년 [노예제도에 대한 생각]이라는 소책자를 발간하면서 노예폐지 운동의 전면에 나선다. 그는 이 책에서 노예제도의 역사를 개관하고(1), 노예들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을 밝히고(2), 노예주들의 비인간적인 행위를 고발하며(4), 노예 매매의 부도덕성을 지적 하고(5), 관계자들에게 노예제도 폐지를 호소(6)하였다. 이와 함께 설교와 기도회를 열어 노예폐지운동의 기운을 확산시켰다. 노예제도에 대한 웨슬리의 끊임없는 비판의 결실은 그의 동료요 후예들이라 할 수 있는 William Wilberforce를 비롯하여 Thomas Clarkson, Granville Sharp, Zachary Maculy, Henry Thornton, Jame Stephen, Lord Teignmouth, Charles Grant, John Hannah More, John Venn들에 의해 점차 힘을 얻어갔다.

노예 폐지 운동의 정점은 윌버포스(William Wilberforce)였다. 그는 1787년 하원에서 노예문제에 대하여 새로운 인식을 가지고 개혁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비록 그의 노력은 효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그는 끝까지 자신의 입장을 견지했다.그들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지 않았다. 1834년 8월 1일을 기하여 노예제도는 폐지되었다. 1807년 '노예매매 폐지법'(The Abolition Act)이 발표되고 1833년에는 '노예해방 법령'(The Emancipation)이 발표됨으로서 영국에서 공식적인 노예제도는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

그 감격스런 장면에 대하여 브래디는 다음과 같은 극적인 서술로 감격을 표현하고 있다.

"이 날은 서인도제도에 있어서 잊을 수 없는 날이 되었으니 그 이유는 75만에 달하는 흑인이 '자유인'으로 선포되었기 때문이다. 7월 31일 밤, 전 식민지역에서는 교회당 문이 다 열려 있었고, 노예들은 그 안에 몰려 들었었다. 자정이다가오자, 그들은 모두 무릎을 꿇고 업디어 조용히 기도하면서 다가오는 감격적인 순간을 기다리고 있었다. 시계가 12시를 알리는 첫 종을 울리자 그들은 벌떡 일어났고, 섬들의 모든 종들은 전인류의 아버지 되시는 하나님께 감사의 기쁨을 울펴 퍼쳤으니 그것은 이제 무거운 사슬이 풀어지고 노예들은 해방되었기 때문이다."113)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을 피부색이 다르고 물질문명의 진보에서 뒤쳐진다고 해서 힘으로 억압하여 노예로 삼는 극악한 사회는 드디어 웨슬리와 그의 부흥운동을 잇는 후예들에 의해 폐지되었다. 비록 그것이 정치적인 행위였지만 그 본질은 부흥운동의 주역들이 엮어낸 신앙적 결과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극히 성서적인 관점에서 인간이 하나님 앞에서 평등한 권리와 자유를 누려야 함을 주장한 것이 사회적 결과물로 귀결된 것이다.

교도소의 수감자들의 처우개선을 위하여 웨슬리는 1738년 9월 이후 9개월 동안에만 런던, 브리스톨, 옥스퍼드 에 있는교도소에 67회 이상 방문하여 설교하였고, 80세가 넘어서도 그 일을 계속했다. 그는 1778년 연회에서 교도소 방문을 설교자들의 의무로 규정하기도 했다.114) 웨슬리의 수감자에 대한 지대한 관시은 전적으로 인도주의적인 것이었다.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고, 병을 간호했으며, 석방을 위한 탄원서를 제출하고 적군 포로들을 위한 구호활동을 전개했다.115)

John Howard는 "그는 수감자들을 위하여 50,000마일 이상이나 여행하였으며, 정부의 지원도 뿌리치고 그의 사재를 30,000파운드나 냈을 뿐 아니라 그의 시간과 재능과 재산과 그리고 그의 전부를 그들을 위하여 내어 주었다.116) 하워드의 활약은 그가 고등행정관이된 1773년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교도소의 상황을 점검하고 1774년 교도소 조례(1774 Gaol Act)를 통과시킴으로서 간수들의 부정한 수수료 징수를 금지시키고 적절한 봉급을 받게 하였으며 소내 환경을 개선하는 등의 결과를 이끌어 내었다.117) 1866년 '영국 하워드 협회'는 그의 이러한 노력을 이어받기 위한 조직이었으며 41년 후 '형벌개혁연맹'이 설립되고 이 두 기구는 1921년에 '하워드 형벌 개혁 연맹'(The Howard League for Penal Reform)으로 통합되었다.118)

18세기 노동환경 개선에 있어서 웨슬리와 메도디스트들이 끼친 영향은 실로 지대하다. 웨슬리의 속회조직이 노동조합으로 연결되고 그 구성원들이 메도디스트 지도자 혹은 그 출신이었음은 앞서 밝힌 바 있다. 메도디스트들의 내면적 뜨거움은 사회적 역할로 전이되었으며 1800-1850년의 정치운동에 메도디스트들의 속회와 속회운동의 영향력이 미치었다. 산업노동자들의 이익증진을 위한 투쟁에 있어서 복음주의자들의 공헌은 또한 의미심장하다고 볼 수 있다.

브래디가 "영국의 링컨이요 버림받은 어린이들의 해방자"라고 불렀던 로드 샤프테스베리(Lord Shaftesbury, 1801-1885)와 그의 동료들은 1833년 2월에 9세 이하의 어린이 고용금지, 18세 이하 청소년의 10시간 이상 노동 금지를 요구하는 법안을 의회에 제울, 통과시켰다. 1840년에는 광산의 여인과 어린이 고용에 대한 조사위원회를 조직하고 의회로 하여금 보고서를 제출케 하였다. 샤프테스베리는 1860년에 검열관 수의 증원과 12세 이하 어린이 고용금지를 이끌어 내었고 1872년에는 안전조치를 의무화 했다. 더 나아가 1864년에는 16세이하 어린이 굴뚝 소제부 고용을 금지하는 조례를 통과시켰으며 1875년에는 굴뚝 사용을 금하고 기계자치로 이를 대신하도록 법안을 마련하였다.119) 

이런 개인적인 노력과 함께 노동자의 현실을 직시한 이들이 메도디스트 운동을부터 배운 방식을 따라 노동조합운동을 시작하기에 이르렀다.

초기 노동조합은 속회구조와 똑같이 12명의 회원과 1명의 지도자로 이루어졌다. 노동자들이 매주 기부하는 1페니의 금액은 그들의 정치적 자유와 보편적 자유 획득을 위한 목적에 사용되었다. 이 노동조합은 노동속회(working-class)로 불려졌다.120) 실제로 광부 노동운동 런던 모임의 대표 12명 중 9명이 메도디스트 설교가들이었으며 시애튼 딜라발 탄광(Seaton Delaval Colliery) 파업의 지도자는 모두 메도디스트 지역설교가들이었다. 메도디스트 설교가들은 파업을 위해 연설하기도 하였고, 파업의 성공을 위해 파업기간동안 100-400명을 길에 모아놓고 혹은 탄광골짜기 예배당에서 매주 1회 기도회를 가졌다.  또한 그들은 매일 저녁 식사 후 갱안에서 설교와 기도 중심의 기도 모임을 가지기도 했다. 노동자들은 감리교의 속회 조직 운영을 본받아 매주 1페니씩을 갹출하여 조합기금을 충당하기도 했다.121)

당시의 노동조합 결성의 경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842. 11.7 웨이크필드(Wakefield)에서는 '영국과 아일랜드 광부노동조합'(Miners' Assocation of Great Britain and Ireland)이 결성되었으나 1799년 정부는 산업노조 결성을 반대하였다. 1831년에 '전국노동조합'(National Union of Working Classes)이 런던을 본부로 창설되고 1836년에 이르러서는 '영국과 아일랜드 연합 산업노동조합'(The Grand Consolidated Trade Union of Great Britain and Ireland)이 결성되었다.122)

18세기의 메도디스트들은 격동과 전환의 시대에 노동자, 농민의 사회 속에 참여함으로써 처음에는 박해를 받아 신도들이 줄어들기도 하였으나 1800년 교인수보다 1850년 교인수가  6배로 증가하였다. 예배당은 광부, 노동자, 농민들로 가득차게 되었다. 그들은 조직화의 기술, 협동행동의 중요성, 친교의 기쁨을 가르쳐주었다. 당시의 웨슬리와 메도디스트들은 영국인들에게 희년의 꿈과 이상을 심어주었고 희년운동을 몸으로 실천한 것이었다.123)

한편 메도디스트 자신들은 자신이 내면적 신앙을 위하여서도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은혜의 체험을 지속했으며 그 체험은 노동자들에게도 나누어졌다.

첫째, 설교가 혹은 속회 지도자로서 교회에 봉사함으로써
둘째, 종교적 훈련을 통한 자기자신 영혼의 개발을 이룩함으로써
셋째, 노동을 포함하여 모든 생활영역에서의 영적인 훈련을 함으로써124)

이러한 내면적 충실을 통하여 그들의 신앙은 외연의 열매를 맺었다. 그들은 사회 속에서 신앙과 실천을 조화시키려 노력했으며 종교적 삶과 사회적 삶의 균형을 잘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Ⅳ. 18세기 부흥운동의 양상에 대한 평가

웨슬리가 말하는 사랑이신 하나님의 구속사역의 첫 단계인 선행은총으로서의 의지의 자유는, 절망할 수 밖에 없는 인간에게 희망을 주며 주님의 지상명령에 대한 활력을 주었다. 또한 확신과 성결(기독자의 완전)의 교리로 보다 능력 있는 신앙생활의 길을 보여주었다. 웨슬리의 체험적 신앙운동은 당시 어두운 영국 사회를 개혁했을 뿐 아니라 오늘 날 성도에게 경험적 특권을 누리게 하고 있다.

18세기 부흥운동이 여타의 부흥운동과 다른 점은 사회적인 직접적 영향력에 의해 그 결실을 거두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웨슬리 신학의 큰 특징인 체험적 신앙이 개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 성결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극도로 혼란스럽고 타락한 전반적 사회-교회 상황 아래서 그의 "성화사상은 복음적 신인협조설, 은총의 낙관주의, 행동주의 신앙으로 설명되어지기에 적극적 사회참여와 성육신적 선행운동이 나타나는 것"125)이다.

진정한 신앙은 마치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완전한 선이 이웃에 대한 사랑을 함축함과 같이 자비와 정의의 역사를 함축한다. 메도디즘은 열렬하게 내향적임과 같이 열렬하게 사회적이다. 구원은 하늘나라를 가기 위한 사적인 준비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인 순결과 사회적 관심의 생활을 의미한다.126)

누룩과 같이 번지는 부흥운동의 여파는 그 사랑의 실천으로서 사회 구석구석을 섭렵하였으며 그것은 교리적인 것이 아니라 실천적인 것이었으며, 교회 내의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을 위한 것이었다. 직접적인 참여와 실천의 모델로서 번져가는 성화의 열매들은 개인적 확신에 근거한다. 확신은 성화의 길로 인도하는 중요한 단서이다. 하나님의 은총, 그 중생의 확신이 신자로 하여금 뜨거운 사랑의 가슴으로 이웃과 사회를 품게 하는 것이다.

오늘날 교회의 메시지가 그 권위를 잃어 가는 이유는 그 메시지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닫혀진 교회와 신학과 성도의 성화에 대한 시각에 기인한다. 필경은 자기안주에 머무르게 되는 개인주의를 극복하지 못할 때 교회는 공동체로서의 사회 안에서 그 빛을 잃게 되는 것이다.

18세기 부흥운동이 세계 선교에 공헌한 점은 지대하다.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부흥운동과 각성운동의 영향으로 윌리엄 캐리(Willam Kelly)가 최초의 근대적 선교사로 파송되었다. 해외선교의 지평이 확대된데는 두가지 큰 요인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첫째는 신대륙의 발견이라는 지평선의 확대에 편승한 제수잇 교단(Jesuist)의 이그나티우스 로욜라(Ignatius Loyola)와 같은 카톨릭의 선교이고 둘째 요소는 영국의 산업혁명으로 인한 부의 증대가 초래한 식민지 구축과 제국주의의 확대에 편승한 개신교의 확산이라 할 수 있다.

나가는 말   - 유혈혁명과 무혈혁명

본고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18세기는 부흥운동의 때가 무르익은 시기였다.

혼란스럽고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영국의 사회는 전통적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질서가 무너지고, 도덕성이 파괴되며 가치관의 혼란이 야기된 상황이었다. 정치적으로는 왕정을 무너뜨리고 정권을 장악했던 청교도들의 공화정이 지나치게 철저하고 엄한 도덕주의를 국민들에게 강요했기 때문에, 그것이 왕정복구 후에는 하나의 반동으로 작용하여 극도로 문란하고 부도덕한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사상적으로는 계몽주의가 지배적인 지성적 분위기가 되어 인간의 이성을 과대평가하며 종교적 가치를 거부하고 신앙을 포기하게 만들었다. 종교적으로는 영국교회가 부패하여 성직자들은 권력가와 부호들과 결탁하면서 민중의 삶을 외면했고 교회자체는 뜨거운 종교적 열정을 상실했다.127)

산업혁명과 인간 이성에의 신뢰는 물질적인 면의 진보와 인간정신의 개화를 가져왔지만 그것은 역설적으로 부패와 불평등, 구조악과 인간소외를 가져왔다. 하나님은 잊혀지고 있었으며 초월의 지대로 내몰려지고 있었다. 인간의 경쟁과 탐욕은 오히려 인간을 비인간화했다. 상황은 절망적이고 어두움이 짓누르는 시대였다. 인간 자유에 대한 한 선언으로서의 프랑스 혁명은 그 기본 이념인 자유와 평등이라는 이상과는 다르게 그 진행과정에 있어서 수많은 사람들의 피를 흘리게 하였다. '유혈혁명'으로서 대량 살상과 고문, 정치-사회적 공포는 혁명 수행에 있어서 필수적 강제력이었다. 혁명의 본질은 인본주의에 있었다. 계몽주의가 신뢰하는 인간 이성에의 자각이 프랑스혁명이었다면 영국적 상황에서는 이신론(Deism)이라는 인본주의적 사상으로 표출되었다. 하나님은 이 세계 저편으로 밀려났으며 하나님 없는 사회와 교회는 부패로 치달았다.

그러나 그것은 모두 위대한 전환기를 준비하는 하나님의 섭리 안에 있었다. 하나님은 인간이 선 자리 끝으로부터 새로운 시대를 몰고 올 웅대한 역사를 준비하셨다. 극도로 부패한 영국에서 일어난 새로운 물결은 인간에 의해 일어난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 의한 것이었다. 휫필드와 챨스 웨슬리, 존 웨슬리 그리고 메도디스트들에 힘입은 바 큰 영국의 부흥운동은 한마디로 영국과 유럽, 나아가 세계를 바꿔 놓은 '무혈혁명'이었다. 이것은 인간 그 자신의 내면을 개조시키는 것 뿐 아니라 인간 삶의 외면까지도 관심을 가지며 개혁해 나가고자 했던 중대한 사건이었다. 독일 경건주의의 내적으로 한정된 종교운동을 넘어서서 종교의 사회적(관계적) 책임을 인식하고 그것을 위한 구체적 헌신으로 나아간 것이다. 이것은 인간 이성이 실패한 자리에서 울려난 하나님 역사 시작의 종소리였다. 18세기 영국은 인간의 전인적인 그리고 인간 삶 전체에 걸친 새로운 개조의 시기를 향해 놓인 다리였다. 인간의 절망은 하나님의 시작이 되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국내 단행본
  1.  김홍기, 「존 웨슬리 신학의 재발견」,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4.
  2.  김홍기 외 3인. 「존 웨슬리의 역사신학적 조명」, 서울: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부, 1995.
  3.  박명수, 「근대복음주의의 주요 흐름」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8.
  4.  조종남, 「요한 웨슬레의 신학」,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95.
  5.  홍성철, 「불타는 전도자 존 웨슬리」, 서울:도서출판 세복, 1999.. 논문
  6.  강근환, "사회 개혁자들로서의 18세기 영국복음주의자들", 「신학과 선교」 제3집, 부천:서울신학대학, 1975.
  7.  박권배, 존 웨슬리 부흥운동이 18-19세기 영국의 사회개혁에 미친 영향,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9.
  8.  이원규, "웨슬리 전통과 사회운동", 서울신대 웨슬리회심 기념강좌, 1999.5.27

      번역서
  9.   하워드. A. 스나이더, 「혁신적 교회 갱신과 웨슬리:교회 갱신의 한 패턴」, 조종남 역,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10.  아놀드 A. 델리모어, 「조지 윗필드」, 오현미 역, 서울:두란노서원,  1991.
  11.  마틴 로이드 존스, 「청교도신앙 : 그 기원과 계승자들」, 서문강 역 서울:생명의 말씀사, 1996.
  12.  D. M. 로이드-죤즈, 「죠지 휫필드:생애와 사역,사상,설교」 정영식 역, 서울:새순출판사, 1999.
  13.  윌리엄 A. 스코트, 「개신교신학사상사」, 김쾌상 역,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14.  후스토 L.곤잘레스, 기독교사상사(Ⅲ):현대편, 이형기·차종순역,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1995.

      원서
  15.  John. R. H. Moorman, A History of the Church in England, London : Adam and Charles   Black, 1961.
  16.  John S. Simon, John Wesley and the Riligious Societies, London:Epworth Press, 1955.
  17.  , The Revival of Religion in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New York:Eaton & Mains,n.d. ?.
  18.  John Wesley, Works, Ⅷ
  19.  J. Wesley Bready, England:Before and After Wesley, New York:Russell & Russell, 1971.
  20.  L. E. Elliott-Binns, The Early Evangelicals: A Religious and Social Study, London:Lutterworth Press, 1953.
  21.  Manfred. Marquardt, Praxis und Prinzipien der Sozialethik John Wesleys, Gottingen:Vandenhoech & Ruprecht, ?. 존 웨슬리의 사회윤리」, 조경철 역, 대구:보문출판사, 1992.
  22.  Paulas Scharpff, History of Evangelism, michigan, 1966.
  23.  Ray A. Sturm, Sociological Reflections on John Wesley and Methoodism (Indianapolis, In : Central Publishing Co, 1982.
  24.  Robert F. Wearmouth, Methodism and the Common People of the Eighteenth Century, London:Epworth Press, 1945.
  25.  , Methodism and The Working-class Movement of England (1800-1850), London:Epworth Press, 1947.
  26.  S. C. Henry, George Whitefield : Wayfaring Witness, Nashville:Abingdon Press,
              1957.
  27.  T. B. Shepherd, Methodism and the Literature of the Eighteenth Century,
              New York:Haskeil House, 1966.
  28.  W. E. H. Lecky, A History of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Vol.,Ⅰ,
              New York:D.Appleton & Co.,1882.
  29.  Wellman J. Warner, The Wesleyan Movement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Russell&Russell, 1967.
  30.  W. E. H. Lecky, A History of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vol. Ⅱ,
              New York, 1878.
  31.  W. H. Fitchett, Wesley and His Century, Toronto, 1908.
  1) John. R. H. Moorman, A History of the Church in England, (London:Adam and Charles Black, 1961), p. 294.
  2) Ibid., pp. 294-296.
  3) W. E. H. Lecky, A History of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vol. Ⅱ(New York, 1878), pp. 637-638. 와 Ray A. Sturm, Sociological Reflections on John Wesley and Methoodism (Indianapolis, In : Central Publishing Co, 1982), pp. 58-52의 내용을 이원규, "웨슬리 전통과 사회운동", 서울신대 웨슬리회심 기념강좌 자료집, 1999.5.27, p. 9에서 재인용.
  4) J. Wesley Bready, England:Before and After Wesley, (New York:Russell & Russell, 1971), p. 123.
  5) Ibid., p. 28.
  6) Ibid., p. 121.
  7) 박권배, 존 웨슬리 부흥운동이 18-19세기 영국의 사회 개혁에 미친 영향(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9), p. 22.
  8) J. Wesley Bready., pp.119-120
     ; W.E.H. Lecky, A History of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Vol.,Ⅰ(New York:D.Appleton & Co.,1882), p.365.
     : 강근환, "사회 개혁자들로서의 18세기 영국복음주의자들", 「신학과 선교」 제3집(부천:서울신학대학, 1975), pp.141-142.
  9)  Earle E. Cairns, p.20.을 박권배, p.23에서 재인용. (필자 주 : 박권배의 논문에 인용된 이 글은 Earle E. Cairns, p.20으로만 각주되어 있다.)
  10) J. Wesley Bready., p.124.
  11) Ibid.
  12) 박권배, p.25.
  13) J. Wesley Bready, p.124.
  14) 18c 영국 문화(문학,극장 등) 상황을 등에 대하여는 아래 책을 참고하라.
      T. B. Shepherd, Methodism and the Literature of the Eighteenth Century, NewYork:Haskeil House, 1966.
  15) 이원규, p. 2.
  16) John. R. H. Moorman, op. cit., pp.293-294.
  17) Ibid., p. 294.
  18) Manfred Marquardt, 「존 웨슬리의 사회윤리」, 조경철 역(대구:보문출판사, 1992), p.19.
     이 책의 원제목은 Praxis und Prinzipien der Sozialethik John Wesleys로서 킬(kiel)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을 보충하여 Gottingen:Vandenhoech & Ruprecht에서 출판되었다. 
  19) Ibid., p.20.
  20) 박권배, p.26.
  21) Ibid. :  John S. Simon, The Revival of Religion in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New York:Eaton & Mains,n.d.), p. 60.
  22) Ibid. :  Robert F. Wearmouth, Methodism and the Common People of the Eighteenth Century(London:Epworth Press, 1945), p.57.
  23) Ibid., p.27 : L. E. Elliott-Binns, The Early Evangelicals: A Religious and Social Study(London:Lutterworth Press,1953), p.47.
  24) Robert F. Wearmouth, Methodism and The Working-class Movement of England (1800-1850)(London:Epworth Press, 1947), p.182.를 김홍기, 「존 웨슬리 신학의 재발견」(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4), p. 21에서 재인용.
  25) Ibid., p.181.을 김홍기, p.21에서 재인용.
  26) 박권배, pp.27-28. : Robert F. Wearmouth, Methodism and the Common People of the Eighteenth Century, p.77, 131.
  27) Robert F. Wearmouth, Methodism and The Working-class Movement of England pp.202-203.을 김홍기, p.22-23에서 재인용.
  28) Manfred Marquardt, p. 22.
  29) 김홍기. pp. 21-23 참조
  30) Manfred Marquardt, p.126.
  31) J. Wesley Bready, p.127.
  32) Manfred. Marquardt, p.127.
  33) J. Wesley Bready, p.132.
  34) Ibid., p.367.
  35) Manfred Marquardt, p.131.
  36) 박권배. pp.30-31.: John S. Simon, p.63.
  37) Ibid., p.31. : John S. Simon, p.65. : Robert F. Wearmouth, Methodism and the Common People of the Eighteenth Century, p.133.
  38) 노예제도에 반대하는 웨슬리의 입장 발전과정과 투쟁에 대하여는 Manfred Marquardt의 책 pp.109-124를 보라. 웨슬리는 1774년 "노예제도에 대한 생각"(Thoughts Upon Slavery)이라는 소책자를 씀으로써 노예 폐지 운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시켰다.
  39) John S. Simon, John Wesley and the Riligious Societies(London:Epworth Press, 1955), pp.151-152.
  40) Wellman J. Warner, The Wesleyan Movement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NewYork:Russell&Russell, 1967), p .240. ;이 책은 18c 영국의 사회 전반의 관련문제에 대한 웨슬리와 웨슬리안 운동의 사회학적 접근과 사회윤리를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41) Manfred Marquardt, p.110.
  42) J. Wesley Bready, p.106.
  43) Ibid., p. 102.
  44) Ibid., p.103.
  45) Manfred Marquardt, pp.112-113.
  46) J. Wesley Bready, pp.141-142.
  47) Manfred Marquardt, p.73.
  48) Ibid., p.79.
  49) 이원규, p. 3. W. E. H. Lecky, pp. 692-93.
  50) 박권배, p.38. (박권배는 이 부분을 Dorthy Marshall에게서 인용한 것 같은데 각주에 인용 출처를 Dorthy Marshall, pp.248-249라고만 기록해 놓았다.)
  51) J. Wesely Bready, p.147.
  52) Earle E. Cairns, p.23을 박권배, p.39.에서 재인용.
  53) J Wesley Bready, op. cit., pp. 145-146.
  54) Ibid., p.50.
  55) Ibid., p.156.
  56) Ibid., pp.151-155.
  57) 강근환, p.139. : Cf. W. H. Fitchett, Wesley and His Century(Toronto,1908), pp.139,140.
  58) Ibid., p.143.
  59) Ibid., p.139. : Cf. W. H. Fitchett, pp.40-141.
  60) Ibid., p.143.
  61) Paulas Scharpff, History of Evangelism(michigan, 1966). pp.64-65를 강근환, pp.143-144에서 재인용.
  62) 박권배, pp.42-43. : Cf. J. Wesley Bready, pp.20-25.
  63) John S. Simon, The Revival of Religion in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p.104를 박권배, pp.44-45에서 재인용.
  64) J. Wesley Bready, pp.55-56.
  65) 이 모임은 후일 웨슬레에게 영향을 주어 그의 Holy Club 운영이나 메도디스트 운동의 '속회' 조직에 어떤 모양으로든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66) 김홍기, pp. 28-29.
  67) 웨슬리와 독일 경건주의의 차이점에 대하여는 김홍기의 위의 책 [존 웨슬리 신학의 재발견] 30쪽을 보라.
      가. 웨슬리는 루터의 노예의지론에 의한 '수동적 의와 경건'을 넘어 동방교부들의 영향을 받아 '복음적 신-인 협동설'을 주장했으며
      나. 은총의 낙관주의 곧 원죄를 인정하지만 죄의 깊이보다는 은총의 놀이를 더욱 강조하는 의미로서, 죽기전에 지상에서 완전한 성화가 가능함을 말하고
      다. 루터식의 '용서받은 죄인' 즉 낮선 손님같은 의, 전가된 의라는 사상보다 성화를 강조함으로써 하나님의 본성에 참여하고 그리스도의 형상을 이루는 의와 거룩함을 강조했으며
      라. 사회적 행동과 참여를 강조하는 성화의 성육신화를 주장함으로서 독일 경건주의의 한계라고 할 수 있는 세상과 교회 혹은 개인이
  분리되는 구별된 경건주의를 극복한 점이다.
  68) 김홍기, p. 18.
  69) Ibid.
  70) 강근환, p.144. : Cf. W. H. Fitchett,, p.142.
  71) Ibid.
  72) J. Wesley Bready, p.41.
  73) D. M. 로이드-죤즈, 「죠지 휫필드:생애와 사역,사상,설교」 정영식 역,(서울:새순출판사,1999), pp. 14-22.
  74) Ibid., p. 16
  75) Ibid., pp. 19-23.
  76) 마틴 로이드 존스, 「청교도신앙 : 그 기원과 계승자들」, 서문강 역(서울:생명의 말씀사, 1996), pp. 114-118.
  77) Ibid., p. 128.
  78) 박명수, 「근대복음주의의 주요 흐름」(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8), pp. 42-44.
  79) 아놀드 A. 델리모어, 「조지 윗필드」, 오현미 역(서울:두란노서원, 1991), p. 80.
  80) Ibid.
  81) Smith, Whitefield & Wesley on the New Birth, 64, 67. 박명수, op. cit., p.46에서 재인용.
  82) Ibid., p. 93.
  83) S. C. Henry, George Whitefield : Wayfaring Witness(Nashville:Abingdon Press, 1957), p. 96.
  84) 후스토 L.곤잘레스, 기독교사상사(Ⅲ):현대편, 이형기·차종순역(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1995), pp. 411-412.
  85) "Of the pernicious Nature and Tendency of Methodism." The Gentleman's Magazine, 9 (May 1739), 257 : 하워드. A. 스나이더, 「혁신적 교회 갱신과 웨슬리:교회 갱신의 한 패턴」,  조종남역(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재인용.
  86) D. M. 로이드-죤즈, op. cit.,  p. 20.
  87) Ibid., pp. 25-26.
  88) 강근환. op.cit., pp. 148-149. Cf. W. H. Fitchett. op. cit., pp.169-170.
  89) 홍성철, 「불타는 전도자 존 웨슬리」, (서울:도서출판 세복, 1999), pp. 20-26.
  90) Ibid.
  91) Ibid.
  92) Ibid., p. 206.
  93) Newton, Methodism and the Puritans, 5. : 홍성철, op. cit., p.26에서 재인용.
  94) Newton, Susana Wesley, 97. : 홍성철, op. cit., p. 28에서 재인용.
  95) 홍성철, op. cit., pp. 30-31.
  96) Ibid., p. 29.
  97) 홍성철, op. cit., p. 15.
  98) 김홍기 외 3인. 「존 웨슬리의 역사신학적 조명」(서울: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부, 1995), pp. 225-226.
  99) Ibid., p. 297.
  100) Ibid., p. 27.
  101) 강근환, op. cit., p. 151.
  102) 김홍기 외 3인, op.cit., p, 300.
  103) John Wesley, Works, Ⅷ., p. 472.
  104) 윌리엄 A. 스코트, 「개신교신학사상사」, 김쾌상 역,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p.148.
  105) 조종남, 「요한 웨슬레의 신학」(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1995), p. 135.
  106) Ibid., pp. 136-38.
  107) 강근환, op. cit., pp.153-154.
  108) Ibid., p. 157.
  109) Ibid., pp. 158. Cf. W.H. Fitchett, op. cit., p. 290.
  110) Ibid.
  111) Ibid.
  112) Ibid.
  113) J. W. Bready, op. cit., p. 13을 강근환, op. cit., p. 159에서 재인용.
  114) 박권배, op. cit., p. 141.
  115) Manfred Maquardt, op. cit., p. 84.
  116) J. Brady. op. cit., p. 365.
  117) Ibid., p. 367.
  118) 박권배, op. cit., p. 165
  119) Ibid., p. 142.
  120) 김홍기 외 3인, op. cit, p. 330.
  121) 김홍기. 「존 웨슬리 신학의 재발견」, pp. 21-23.
  122) Ibid.
  123) 김홍기 외 3인, op. cit., p. 330.
  124) 김홍기 외 3인, op. cit., p. 331.
  125) 김홍기 외 3인, op. cit., p. 347.
  126) 강근환, op. cit., p. 155.
  127) 이원규, p. 2.
[출처] 18세기 영국 부흥운동 |작성자 럭비볼]

Posted by yyht
,